2/21/2008

[퍼온 글] 표준화 지상주의에서 벗어나기

이 블로그 첫 부분에 제가 쓴, 평가와 관련된 두 글과 일맥상통한 사설이 있어 옮겨 보았습니다.
출처: 서울신문 2005년 6월 2일

[신연숙칼럼] 표준화 지상주의에서 벗어나기

▲ 신연숙 수석논설위원

표준’이 없다면 오늘날의 문명생활은 이뤄질 수 없을 것이다. 볼트, 너트의 크기에서부터 휴대전화의 전파송출 방식에 이르기까지 규격과 품질의 표준화는 재화 이용의 편리성과 신뢰성 확보의 관건이다. 표준의 선점은 시장확보의 필수조건이 되었다. 근대사에 있어 서양의 승리는 자신의 정치적, 군사적, 경제적, 문화적 표준을 세계표준화함으로써 가능했다는 국제정치학적 분석도 있다.

이토록 ‘표준’은 효율과 통합의 효과적 수단이었으나 획일화와 차별, 일방적 지배 기제로 작용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특히 국가의 개입이 줄어들고 다양성과 창의성, 자율성이 중시되는 탈근대 사회에 들어와 표준의 지위는 크게 흔들린다. 정신적 영역인 문화와 교육, 학문 분야에서는 특히 그렇다. 표준어에 밀렸던 방언의 복권이 그 한 예라 할 수 있다.

흔히들 표준어는 옳은 말, 사투리는 틀린 말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표준어의 개념은 국민국가 형성기에 사회통합 수단으로 나왔다. 우리나라에서의 표준어란 ‘수도권의 교양있는 사람들이 쓰는 품위있는 말’일 뿐이다. 이 잣대 속에 지방의, 혹은 하위 민초들의 언어들은 비표준어로 전락하고 만다. 우리말을 갈고 닦는 많은 시인과 작가들은 방언을 사용해 한국인의 삶을 형상화했고, 오늘날 언어학자들은 이 언어의 가치에 새삼 주목한다. 표준어와 더불어 이러한 현실어들이야말로 우리말을 풍부하고 섬세하게 만드는 보물창고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표준에 대한 권위의식은 쉽게 바뀌지 않는 듯하다. 신문사에서도 방언을 이용한 표현들이 곧잘 ‘교열’의 대상이 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표준의 가치에 대한 믿음, 혹은 집착은 다른 모든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작년 가을 근현대사교과서 왜곡 논란이 있었을 때 교과서 검인정제도 자체에 대한 의문 제기가 있었던 것을 기억한다. 근현대사교과서는 역사의 객관적 서술과 다양한 해석의 관점을 보장하는 세계적 흐름에 맞게 국사교과서를 국정체제에서 검인정체제로 전환한 첫 결과였다. 그러나 이념적 편향성문제가 제기되며 논란이 격화되자 우리의 지적 풍토에서 검인정체제는 시기상조가 아니었나 하는 회의론이 나왔다. 다원화 사회를 지향하는 마당에 교과서발행이 국정체제로 회귀할 수 없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겠다.

또하나 표준화에 대한 믿음이 굳건한 분야가 교육평가 분야다. 국민교육 개념 역시 국민국가 형성기에 국민의 일체성 확보를 목적으로 시행됐던 것은 다 알려져 있는 바다. 그러나 오늘날 교육은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교육의 목적 역시 전인교육과 개인의 개성실현에 둔다. 이렇게 볼 때 획일적인 입시교육보다는 다양하고 자유로운 학교교육이 이뤄져야 함은 너무도 자명하다. 그럼에도 우리 교육의 평가제도는 표준화된 평가에 집착해 학교교육을 이에 종속시키고 만다.

최근 한 학부모 여론조사에서는 서울대학이 수능을 자격 기준 정도로 사용하겠다고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입시에서 가장 많이 반영해야 할 성적으로 수능 52%, 내신 29%, 논술 및 면접 19%를 꼽았다. 똑같은 잣대에 집착해 수능점수에 목을 매다 보니, 국가가 전 국민(학생)을 상대로 똑같은 내용을 강의하는 EBS 수능특강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창의적이고 독자적인 사고력이 요구되는 시대에 모든 학생이 하나의 정답만을 생각하도록 강요하고 있는 게 수능이요,EBS수능 강의다. 미래를 개척하려면 특별한 답이 없는 문제에 도전하도록 하라는 해외 석학의 말은 이런 상황에서는 공허한 울림일 뿐이다.

표준화에 대한 과도한 믿음은 이제는 접어둘 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대입시제도에 있어서도 표준화 평가에 의지하기보다 어떻게 하면 특별한 개성과 창의력을 가진 인재를 선발할 수 있는지를 고민했으면 한다.

수석논설위원 yshin@seoul.co.kr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