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배상률 외(2014: 27), 디지털 시대의 청소년 미디어교육 제도화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Buckingham(2003)은 미디어 교육을 “미디어에 대해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으로, 미디어 리터러시를 “미디어 교육의 결과물로서 학습자들이 획득하는 지식과 기술”이라고 규정하였다(p. 19). 국내 미디어교육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최창섭은 다음과 같이 미디어교육의 목표를 정의내리고 있다:
올바른 미디어 환경 이해와 미디어의 역기능에 대비한 미디어 예방접종운동 및 미디어의 순기능 차원에서 지속적인 인간발전(sustainable human development)에 초점을 맞춘 창조적인 미디어의 선용에 대한 지식, 기술, 태도구축의 방법
(최창섭, 2000, p. 10)
이처럼, 미디어에 대해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는 두 가지의 궁극적인 목표가 있다. 매체의 긍정적 기능을 보다 적극적으로 발휘하기 위한 주체적·창조적 활용 교육과 함께 매체의 역기능적 폐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보호적 예방 교육이 그것이다(김기태, 2006). 미디어 교육을 통해 얻어진 미디어 리터러시는 청소년에게 다음과 같은 능력을 배양 시킨다:
① 미디어 메시지가 의미를 생산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② 미디어 메시지의 생산자가 누구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③ 미디어 생산자가 어떤 의도를 갖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④ 미디어를 통한 설득의 수단/방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⑤ 왜곡, 편견, 잘못된 정보, 거짓말 등을 구분할 수 있다.
⑥ 스토리 전개에서 언급되지 않은 부분을 유추할 수 있다.
⑦ 개인의 경험, 믿음, 가치에 따라 미디어 메시지를 평가할 수 있다.
⑧ 자신의 고유한 미디어 메시지를 생산하고 유포할 수 있다.
⑨ 우리의 미디어 체계의 변화를 주창할 수 있다.
(Media Literacy Project, p. 1)
기술한 9가지 능력은 청소년들로 하여금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와 적극적 참여(active participation)를 가능케 하여 미디어의 편재 속에서도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와준다(Buckingham, 2003; Media Literacy Project). Pungente(1985)는 미디어 교육의 10대 핵심가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① 감상력, 비판력, 식별력을 갖춘 미디어 소비자/이용자가 되도록 교육
② 각종 미디어의 발전과정에 대한 역사적 안목을 길러주는 교육
③ 미디어의 정보제공 기능과 오락 기능에 대한 균형 있는 이해와 안목을 길러주는 교육
④ 미디어 세계는 현실 세계와 본질적인 차이가 있다고 인식할 수 있는 교육
⑤ 매체 종사자들의 책임과 정치, 경제, 조직, 기술, 사회, 문화적 통제 요인을 이해하는 교육
⑥ 여론 형성이나 연론 조작에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력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이에 대항할 수 있는 능력을 증진시키는 교육
⑦ 매체의 내용물을 미학적, 윤리적 기준에 의해서 관찰, 해석, 분석,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치는 교육
⑧ 지식전파, 문화전승, 규범형성 등의 미디어 기능과 영향력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는 교육
⑨ 매체의 평가 및 선별 능력을 길러 실제 삶에 적용시킬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교육
⑩ 각종 매체를 이용해 자신들의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기회와 능력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육
(박진우 외, 2012, pp. 23-24에서 재인용)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