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2017

매체풍요도 이론(media richness)

Media Richness

조재희(2016). 현대 조직 사회에서 뉴미디어와 소통. 커뮤니케이션북스.

- 각 커뮤니케이션 매체는 서로 다른 수준의 매체풍요도를 가지며, 이러한 매체풍요도는 네 가지 요건(다수의 단서_multiple cues; 피드백의 즉시성_immediacy of feedback, 언어 다양성_language variety; 개인화_personal focus)에 의해 결정된다. 즉 매체풍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일수록 피드백을 주는 속도가 빠르고, 보다 많고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단서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인간에게 보다 자연스러운 형태의 언어를 수월하게 전달함과 동시에, 개인적인 감정을 주입하기도 쉽다.
- 일반적으로 면대면 소통이 가장 풍요로운 소통 방식으로 간주되며, 메모나 포스터 등의 매체가 상대적으로 풍요롭지 못한 소통 방식으로 여겨진다. 그런 점에서 면대면 소통이 제한적이라는 점은 여러 차원에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