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니얼 세대와의 소통
- 밀레니얼 세대는 대인관계 유지를 위해 페이스북을 사용하고, 자기표현을 위해서는 인스타그램을 자주 이용하며, 취미활동에 대한 정보는 핀터레스트를 통해서 획득하고, 자기 PR을 위해서는 링크드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조재희, 2016: 52)-기술적 변화에 민감하고 유연하게 대처하는 젊은 세대는 조직 내의 기술적이고 구조적인 변화에 대해서 상사들보다 오히려 더 많은 전문 지식을 갖는 경우도 많다. 에드워즈(Edwards, 1979)의 조직 내 권력 형성의 구성 요인을 감안할 때, 이는 특정 분야에 대해서는 젊은 세대가 오히려 상사들보다 많은 권력을 확보함을 의미하며, 이는 결국 자기주장의 강화로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성세대와 달리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개진하는 밀레니얼 세대의 특징을 잘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수용할 줄 아는 자세가 새로운 리더십의 주요 결정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결국 참여적 리더십의 핵심이기도 하다. (조재희, 2016: 53)
- 밀레니얼 세대는 대인관계 유지를 위해 페이스북을 사용하고, 자기표현을 위해서는 인스타그램을 자주 이용하며, 취미활동에 대한 정보는 핀터레스트를 통해서 획득하고, 자기 PR을 위해서는 링크드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조재희, 2016: 52)-기술적 변화에 민감하고 유연하게 대처하는 젊은 세대는 조직 내의 기술적이고 구조적인 변화에 대해서 상사들보다 오히려 더 많은 전문 지식을 갖는 경우도 많다. 에드워즈(Edwards, 1979)의 조직 내 권력 형성의 구성 요인을 감안할 때, 이는 특정 분야에 대해서는 젊은 세대가 오히려 상사들보다 많은 권력을 확보함을 의미하며, 이는 결국 자기주장의 강화로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성세대와 달리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개진하는 밀레니얼 세대의 특징을 잘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수용할 줄 아는 자세가 새로운 리더십의 주요 결정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결국 참여적 리더십의 핵심이기도 하다. (조재희, 2016: 53)
조재희(2016). 현대 조직 사회에서 뉴미디어와 소통. 커뮤니케이션북스.
Edwards, R. C.(1979). Contested terrain. New York: Basic Books.
댓글 없음:
댓글 쓰기